책소개해요~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 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 2018. 5. 27. 21:32
반응형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 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여러분은 행복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너무 진부한 질문인가요? 누구나 행복한 삶을 원합니다. 과연 불행한 삶을 원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없습니다. 단 한사람도!

그런데 우리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불행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행복한 삶을 꿈꾸고 있죠. 

다르게 물어보겠습니다. 여러분은 행복할 자격이 있나요?  행복해지고 싶지만 행복할 만한 행동과 생각을 하며 살고 있나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행복한 순간이 아예 없지는 않았을겁니다. 누구에게나 한 번쯤 행복하다라는 감정이 느낄 만한 순간이 있었을텐데. 그 순간이 너무 짧았을수도 있겠죠. 그런데 여기 자신의 삶이 행복하다라고 여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누구냐구요? 바로 덴마크 사람들입니다.

 

덴마크는 행복지수가 1위인 나라입니다. 한반도의 5분의 1크기로 인구는 560만 명이 살고 있는 작은 나라. 우리나라의 경상도 정도의 인구와 크기인 덴마크 사람들은 전세계에서 행복지수가 제일 높습니다.

우리는 열심히 살고 있지만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합니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공부 시간은 세계 최고 수준이고, 어른들의 노동 시간도 많은 편입니다. 그래서 경제대국 20위 안에 드는 성장을 이뤘지만 이것만 가지고 행복하다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좋은 직장과 돈과 출세, 자녀의 성공에만 집중하다보니 정작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고 만 것은 아닐까요?

요즘 젊은이들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소확행"이라는 말이 유행입니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찾겠다는 거죠. 이젠 사람들이 돈과 명예, 출세보다 나 자신의 행복을 찾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듯 합니다.

우리는 최선을 다해서 살고 있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에 살고 있습니다.

저자는 덴마크를 방문하고 덴마크에 사는 사람들을 살펴보면서 그들의 사회 시스템을 유심히 관찰하고, 그들이 행복한 이유를 찾아내었습니다.

저자가 발견한 덴마크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 키워드가 6가지가 있는데요.

자유, 안정, 평등, 신뢰, 이웃, 환경 입니다.

 

덴마크의 행복사회는 저절로 이루어지지는 않았습니다. 1864년 독일에 패해서 국토의 3분의 1을 잃고 인구의 5분의 2를 잃으면서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했다고 합니다. 포기하지 않고 희망의 씨앗을 뿌리며 행복지수 1위가 되기까지 150년을 투자했던 것이죠.

 

덴마크가 행복한 사회가 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요인은 바로 깨어있는 시민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참교육 인생학교를 만들어 어떤 인생을 살지, 어떤 사회를 만들지를 묻고 해답을 찾아나섰으며 나만의 행복만이 아니라 우리의 행복을 위해 노력했다고 합니다.

덴마크는 버는 소득의 50%를 세금으로 내는 나라입니다. 이 세금으로 사회 복지 제도를 아주 이상적으로 실천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왜 이들은 이토록 많은 세금에 불만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요? 그 이유는 이 책을 읽어보시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부와 시민 사이에 두터운 신뢰가 있기 때문입니다. 덴마크 시민들은 자신이 내는 세금이 나와 내 자식에게 혜택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생활을 통해 알고 있기 때문에 기꺼이 세금을 낸다고 합니다. 오히려 자부심을 갖고 있다고 하네요. 우리나라와는 전혀 다르네요.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우리나라와는 너무나 다른 딴 세상의 모습을 보며 좌절 아닌 좌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편으로는 우리도 저런 나라와 같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소망도 생깁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풀뿌리 민주주의가 잘 자리잡혀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지방자치 단체부터 체질 개선을 통해 권력자 등 소수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지역의 주민이 잘 살 수 있도록 정치가 변해야 할 것입니다. 국회의원이 되서 일하는 것이 진정으로 국민을 섬기고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일이 되어야 하겠구요. 아직도 멀었지만 시민들이 깨어서 나라를 변화 시켜야 합니다. 잘못된 지도자를 탄핵으로 끌어내린 것도 결국엔 국민들이 해낸 것이니까요.

반응형